메뉴 건너뛰기

서울교육삼락회


연수자료

자체 연수자료
조회 수 2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0세 아저씨의 뇌, 20세 청년과 같더라

퇴화하지 않고 인지능력 그대로신체반응만 느려

이영완 과학전문기자(조선일보 2022.02.19)

 

뇌는 스무 살 이후 퇴화한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예순까지 인지 능력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하이델베르그대의 안드레아스 보스 교수 연구진은 17(현지 시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100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뇌의 정보 처리 속도는 60대까지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과거 하버드대에서 10~80118588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리 실험 결과를 새로 분석했다. 당시 실험 참가자들은 단어를 보고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내용인지 판단해 버튼을 눌렀다. 예상대로 응답 속도는 20세에 가장 빠르고 나이가 들수록 느려졌다.

 

하지만 독일 연구진은 인지 능력과 상관없는 요인 때문에 응답 속도가 느려질 뿐이라고 해석했다. 연구진은 AI(인공지능)로 실험 데이터를 다시 분석했다. 주어진 질문의 난이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응답이 늦다면 뇌가 퇴화한 탓이 아니라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운동 반사 속도가 느려졌다고 해석했다. 실제 분석 결과 나이가 들수록 운동 반사 속도는 계속 느려졌다. 순전히 기계적인 반응 속도로 보면 14~16세가 가장 빨랐다.

 

반면 뇌의 정보 처리 속도는 30세에 정점에 올라 이후 60세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나이가 들수록 실수도 덜 했다. 결국 나이가 들면 정답 버튼을 누르는 운동 반사 속도가 느려지고, 결정을 내리는 데 더 신중해질 뿐이지 뇌가 느려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만물상) 60대의 뇌

박건형 기자 (조선일보 2022.02.21.)

 

구글 공동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은 죽음을 정복하겠다며 노화 방지 연구에 수조 원을 쏟아붓고 있다. 다른 쥐의 10배 이상인 32년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를 연구해 영생의 꿈을 이루는 것이 목표이다. 오러클 창업자 래리 앨리슨, 페이팔 공동 창업자 피터 틸도 노화 연구소에 거금을 내놓았다. 러시아 미디어 재벌 드미트리 이츠코프는 아예 로봇에 정신만 옮겨가면서 살겠다고 나섰다. ()를 거머쥔 사람들의 목표가 생명 연장인 것은 2200여 년 전 진시황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2015년 미국 아인슈타인 의대 연구팀이 임상 시험을 시작했다. 이들은 메트포르민이라는 당뇨약으로 노화를 치료하겠다고 했다. 노화를 자연의 섭리가 아니라 고칠 수 있는 질병이라고 본 것이다. 실험 결과 메트포르민은 암 발생 위협을 낮추고, 인지 저하와 치매도 늦췄다. 아직은 정확한 원리를 모르지만 메트포르민 실험이 성공하면 우리는 한 알에 100원짜리 불로초를 갖게 될 수도 있다.

 

노화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학설은 1982년 엘리자베스 블랙번 UC샌프란시스코 교수가 내놓았다. 염색체 끝부분에서 염색체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이 커질수록 조금씩 짧아지는데, 텔로미어가 닳아버리면 세포가 제대로 복제되지 않고 힘을 잃어간다는 것이다. 노화 시계로 불리는 텔로미어의 실체를 밝힌 블랙번은 2009년 노벨상을 받았다. 지난 30년간 노화 연구 대부분은 텔로미어 손상을 막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드라큘라 실험이 각광받고 있다. 젊은 쥐의 피를 나이 든 쥐에게 투여하니 늙은 쥐의 상처가 훨씬 빨리 나았고, 뇌세포인 뉴런도 몇 배로 늘어났다. 근육과 간도 젊어졌다. 이런 원리로 회춘약을 만들겠다는 스타트업이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다. 핏속에서 회춘 단백질을 찾았다는 곳도 있다. 현재 과학자들이 115세로 보는 사람의 한계수명이 앞으로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독일 연구진이 사람의 인지 능력이 60대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118만명 대상 실험에서 질문에 반응하는 속도는 젊을수록 빠르지만, 정보 처리 속도는 60세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특히 나이 든 사람일수록 실수도 덜했다. 나이가 들수록 신중하고 확실한 대답을 내놓으려 고심하기 때문에 인지 속도가 느려진 것처럼 보일 뿐이라는 것이다. 뇌는 그대로인데 나이에 대한 편견 때문에 60대가 은퇴당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 과학이 120, 150세 시대를 열고 있다. 노화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도 깨져야 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 2022년 9월 월례연수 특강 한니발 2022.09.16 608
90 평균 건강수명 73.1살…70대 되면 왜 갑자기 노쇠해질까 서울교육삼락회 2022.06.29 473
89 500년전 선비 뱃놀이 그린 ‘독서당계회도’… 美·日 떠돌다 귀환 file 서울교육삼락회 2022.06.23 280
88 2023년 국경일과 관공서의 공휴일 file 서울교육삼락회 2022.06.19 366
87 ■ 2022년 6월 월례연수(동영상) - 맨발 걷기 운동으로 건강관리(박문영) 상록수 2022.06.07 301
86 기업 52%가 임금피크제...회사마다 연봉삭감액·업무량 달라 혼선 서울교육삼락회 2022.05.27 283
85 북쪽까지 확장되는 나토 울타리… 유럽軍 창설 탄력 file 서울교육삼락회 2022.05.19 291
84 노화지연과 건강관리-동영상 (서울아산병원) 서울교육삼락회 2022.05.10 279
83 마음을 차분하게 하는 법 서울교육삼락회 2022.04.25 304
82 ■ 22년 4월 월례연수(동영상) : 학교폭력 피해자 구제방안 - 학교폭력·아동학대 바로 알기 - 상록수 2022.04.04 301
81 ■ '22년 3월 월례연수자료 (동영상) -알고 싶고, 알아야 할 법률 상식 - 상속 1 상록수 2022.03.08 324
80 농업대국·자원부국인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의 ‘소련 부활’을 향한 디딤돌 서울교육삼락회 2022.03.06 284
» 60세 아저씨의 뇌, 20세 청년과 같더라 서울교육삼락회 2022.02.23 289
78 싱가포르의 토지임대부 반값 아파트, 한국서도 ‘주택난 해법’ 될까 서울교육삼락회 2022.01.30 303
77 천국 같은 북유럽?… 3명 중 1명은 소득 절반 세금으로 내 서울교육삼락회 2022.01.15 378
76 하루 다섯 번, 과일과 야채 먹기 서울교육삼락회 2021.12.20 434
75 어르신, 운전대 잡으려면 VR테스트 봐야 해요 작은의자 2021.11.30 292
74 “한국어 기원은 9000년전 요하 일대 농민” file 작은의자 2021.11.17 330
73 ■ 11월 연수자료(동영상)-과학기술은 국가경쟁력의 원천(박호군 전. 과학기술부장관) 1 작은의자 2021.11.06 358
72 누리호 3단 엔진 왜 46초 빨리 꺼졌나 “엔진 아닌 연료주입 계통 오작동 의심” 작은의자 2021.10.23 2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6 Next
/ 6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