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로그인 한 후에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조회 수 5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피니언>

 

해양개발 시대를 열자

 

晩碧堂 崔 烈 坤

. 서울시교육감

 

     필자는 시 · 시조 · 수필 등 세 분야에서 활동하는, 여든 넘은 문학인이다. 내 일생, 교육계에서 살아온 경험을 통해서 후배들에게 꼭 전해주고 싶은 것이 있다.

 

그 첫째는 어린이들에게 아름다운 정서를 심어 주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동시집 한 권을 엮기로 한다.

또 한 가지는 유소년들에게 바다 정복의 꿈을 키워주자는 것이다.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이며, 해양국이다. 바다는 온갖 해산물이 나고, 해저자원이 무진장한 보고이기 때문이다. 이 보고를 개발하기 위해서 온 나라 사람이 바다사람이 되도록 <해양지향 국민성> 을 길러야 한다. 그러한 국민성은 우리 유소년들에서 부터 길러져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가 먼저 진출할 곳은 우주개발보다 바로 바다개발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동시집의 주제를 <섬 나들이>로 할까한다.

 

    유소년 때부터 바다와 친하고, 바다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는 생활훈련은 정규 교육과정과 전문 훈련과정에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국민이 바다에 자신감을 갖는 전문가가 되어 진취적인 개척정신을 갖게 하자는 것이 내 소망이다. 그런데 우리 초등학교에는 수영장, 지도자, 지도요목하나 준비되어 있지 않다. 아직도 우리는 물 관리, 물의 산업화로 물의 힘을 활용할 줄 모르고 산다. 저 바다 끝에는 덤으로 대륙이 주저리 주절이 매달여 있다. 엄청난 개척의 시장이 널려있지 않는가 말이다.

 

     우리 조상은, 본시 3만 년전에 바이칼호 부근에 살다가 순록을 타고 선태를 찾아 흥안령을 넘어왔다. 만주지방을 무대로 고구려를 세워 기마민족으로 융성하였는데, 북경이 있는 중원쪽으로 진출할 것을 방향을 잘못 잡아 압록강을 건너게 되었고, 농경문화를 즐기다보니 해양진출의욕은 사라지고 말았다.

 

     이왕 반도로 남하했다면 바다의 국경선을 굳게 지켜야 했다. 그런데 평양 · 개성 · 서울 등 도성을 중심으로 통치를 하고, 삼면 바다의 해안선과 바다에 떠 있는 수많은 섬은 버려 두고, 이민족의 침입과 노략질에도 대책이 없었다. 자주국방은 커녕 외침 때에는 외국지원군에 의존하는 안일한 약소국을 자처했다. 이는 나라 경영에 좋은 통치법이 아니었다. 자주국방 없는 나라는 존립할 수 없는 것이다.

 

     몸에 좋은 바닷물고기는 밀려나고, 농사와 가축을 길러 주식으로 삼는 육식문화, 농경문화가 자리잡게 되었으니, 역사적으로 보아 잘못이 아닐 수 없다.

이리하여 우리는 한 때 물을 두려워하는 민족이 되었다. 울릉도를 비워 두는 공도정책이 그러했다. 또 대마도 정벌 이후 대마도 도주가 와서 조선 땅에 합쳐달라는 건의를 했지만, 통치자들이 이를 거절했으니 얼빠진 짓이었다고 통탄할 수 밖에 없다. 외침이 있을 때 원군을 빌려서 국방하며 강화도에 숨어 앉아서 대장경봉헌에나 목숨을 건 통치자들, 이런 국가경영이 한국의 특이한 통치경륜인가 묻고 싶다.

 

     우리는 자난 역사의 잘못을 뉘우치고, 민족문화를 올바르게 펼쳐나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 이 시대의 통치권자와 정치인 그리고 교육자 문화인과 지식인들에게 우선적으로 무엇을 생각하고, 걱정해야 할 것인가의 화두로 해양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해 본다.

우리는 교육대국으로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그 학교에는 육상생활교육에만 편중했다. 학교시설 설치기준령에는 수영장 설치규정도 없고 지도자도 없다. 바다와는 거리가 먼 육상용 인재양성에만 치중해온 것이다.

좁은 국토에서 경쟁하자니 서열교육으로 치달아 영악한 인간만 양산하게되고 인성교육은 난맥을 가저왔다. 이제 우리의 시각을 널피고 행동반경을 확대하여 해외로 진출해야한다 대양 끝에는 육대주가 있고 거기에 새로운 생활영토를 개척해야한다.

 

     모든 육지는 국경을 기점으로 한 발자국도 남의 땅을 밟지 못한다. 영공 역시 허락되지 않는다. 경계를 침범하면 요격의 대상이 된다. 다만 바다는 영해를 기점으로 바다 국경선이 조금은 여유롭다. 나머지는 公海 , 공동으로 관리하는 바다이기 때문이다  이 公海를 어떻게 개척 활용할 것인가는 국가의 능력에 달렸다. 지난해. <여수 바다 엑스포>는 세계 104개국이 참가한 인류의 큰 축제였다.

 

     해양에 관심이 있는 나라들을 그렇게 많이, 그렇게 많은 돈을 들여서 불러 모았지만, 인류의 소중한 자원을 지닌 바다를 개발하는 데에, <세계 지구온난화로 50년 후의 미래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의 연구협의체 하나도 이룩하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이 나라 경영에 해양 전문가 미래전문가가 얼마나 참여하고 있는가 묻고 싶다. 이토록 국가경영에서 중요한 해양정책을 소홀히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한 마디로 국가경영에 해양정책에 대한 경륜과 비전이 메말랐다는 증거라 볼 수 밖에 없다. 교육부에서도 교육혁신의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고 교육과정과 특수훈련과정을 병행하는 교육개혁을 해야 하며 관련부처를 총괄하는 T/F팀을 총리실에 설치해야할 것이다.

 

     아, 슬프다!   육지에서 뛰듯이 바다에서도 뛰고 달일 수 있게 훈련해야한다. 유소년들에게 100m, 300m, 500m, 1000m의 급수별 수영 타이틀 제도를 설정하는 일에서부터, 스킨 스쿠버는 생존필수요건으로 체득케 해야 한다. 각종 해양훈련 등을 통한 능란한 바다 적응능력을 길러야한다., 자연 재해의 예방, 해난 사고의 구제, 해적 감시단 창설, 바다 오염 방제 등의 유엔 기구를 발족시켜, 한국이 주도하는 국가가 된다면, 얼마나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지겠는가. 한 번 쯤은 고민하고, 걱정해 볼 값진 노력이 아니겠는가.

 

     우리는 지금까지 육지생활중심으로 교육훈련해 왔다. 지상을 마음대로 뛰듯 물위에서 물속에서 뛰고 달리는 생존 훈련을 일상화해야 바다를 우리 생존 영토로 활용할 수 있다. 물이나 바다를 무서워하는 민족은 살아 남을 수 없다. 세계해양개척사가 증명하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그것을 촉구하고 있다. 50년 후의 지구는 대재앙을 맞을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나는 <해양개발>의 첫걸음으로 모든 국민이 바다에 관심을 갖게 하자는 것이다. 해안 답사, 도서 방문 답사, 해양훈련, 나아가서 다른 나라 청소년들과도 교류훈련을 한다면, 진실로 세계만방은 공존 공동체가 될 것으로 믿고 설계를 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영해는 완전히 장악하고 우리의 바다국경선은 영해 밖으로 인식되어져야한다. 살아 나갈 곳은 바다뿐이기 때문이다. 지난 5천년 동안 버려둔 바다에 대한 무관심을 반성하며 새 5천년의 해양 개발시대를 열고자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우선 우리 주변의 바다 공부, 해안선 및 도서 답사, 해양훈련 등을 위하여 도서 순방을 시작했다. 하늘에서 별을 한 망태 따다가 서남해에 확 뿌려진 듯 한 보물섬들을 왜 개척 활용치 않고 내 버려져야 하는가? 우리의 영해 만해도 육지면적에 방불할 만큼 넓어진다.

 

     바다를 갖고 있는 교육감과 시장, 지사는 상호 교류 형식으로 앞에 제시한 방안을 확충 심화해 간다면 어떨지? 이 방안을 국책으로 추진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활기가 넘칠 것이며 다가오는 22세기의 한국의 발전된 모습이 그려지기도 할 것이며 일자리도 많이 창출 될 것이다.

 

     우선 내년쯤은 내가 공부한 자료와 섬 나들이 시조 150여수를 동 시조집으로 엮어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불러 일으키 고자 한다. 노쇄한 다리가 움직일 때까지 섬 나들이는 계속될 것이다. 정부당국자들, 사회활동가들, 정치인들, 모든 국민들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님 부디 해양시대를 개척하는데 우리의 새 비전을 걸어보지 않으시렵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피니언 게시판 자료탑재시 유의할 점 서울교육삼락회 2018.12.11 2483
106 희미해진 호국·보훈 의식 되살리자(회원 성명제) 작은의자 2021.06.09 57
105 현행 연명의료결정법 이대로 좋은가 서울교육삼락회 2022.02.23 69
104 현실적인 것과 이성적인 것 서울교육삼락회 2021.12.22 61
103 현실에 맞지 않는 상속세 공제 확대해야 작은의자 2020.12.03 69
» 해양개발 시대를 열자 (최열곤) file 서울교육삼락회 2018.12.24 550
101 한국 휴대폰에만 편리한 앱… ‘IT 강국’에 글로벌이 없다 작은의자 2021.07.28 67
100 한·일 관계의 세가지 이야기 (차웅렬) file 서울교육삼락회 2018.12.24 558
99 학생 천명이 커리큘럼 천가지로 배우는 학교 작은의자 2020.08.14 89
98 학부모 동의없는 혁신학교 전환 안된다(조주행) file 작은의자 2019.06.19 517
97 학력저하 심각한데 기초과목 수업 줄인다는 교육부 작은의자 2021.12.05 57
96 퇴직교원 사회공헌과 세대 협업(조희연 교육감) file 작은의자 2019.06.20 486
95 토박이 문화에 다음 100년 달렸다(이어령) file 작은의자 2019.09.04 372
94 탈레반, 아프간 장악 후폭풍… 中·러·인도·이란에도 위협 작은의자 2021.08.19 46
93 코로나발 교육양극화 에듀테크로 극복해야 작은의자 2020.09.17 71
92 코로나로 많아진 가족과의 시간, 왜 행복하지 않을까 작은의자 2020.06.10 88
91 코로나가 환기시킨 공교육의 존재 의미…학교가 준 건 지식 그 이상이었다 작은의자 2020.07.02 83
90 코로나發 학습 격차,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돼 서울교육삼락회 2022.03.17 55
89 코로나19 직격탄 맞은 '사회적경제 조직' "취약 계층 고용 이어가도록 도움을" 작은의자 2020.03.25 68
88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리를 위한 경고 작은의자 2020.03.03 153
87 초등 한자교육 시행해야(회원 성명제) 작은의자 2021.05.05 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