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로그인 한 후에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코로나로 많아진 가족과의 시간, 왜 행복하지 않을까

 

왕석순 전주대 가정교육과 교수·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부회장(조선일보,2020.05.21.)

 

                   - AI·로봇이 만들 미래 사회가족이 함께할 시간 크게 늘어날 것

                   - 가족 행복은 '학습'의 결과물, '본능'으로 자동 성취되지 않아

                   - 우리 교육과정도 건강한 대인관계 가르치는 '생활 교과' 강화해야

 

미래 사회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 상황처럼 답이 정해지지 않은 불확실한 도전이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사회 전반에서 코로나 이후의 변화에 대응할 시점이다. 그 하나는 '가족의 변화'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실천, 재택근무 확대, 등교·개학 연기 등으로 어른도 아이도 ''이라는 공간에 종일 함께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가족의 변화에서 우리는 위로받고 있는가, 너무 부담스러워서 도망가고 싶은가.

 

모두가 동일한 것은 아니겠지만 주변을 살펴보면 적잖은 사람이 갑자기 너무(?) 많이 증가한 '가족과의 시간'으로 맞닥뜨린 '가족의 변화'에 당황하고 있다. 물론 초기에는 식사조차 제대로 함께 하지 못했던 가족과의 시간을 열렬히 환영했겠지만 이것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 불화' '코로나 가정 폭력' '코로나 이혼' 등 부정적 반응도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있다. 어떤 회사는 되도록 재택근무를 하고 싶지 않다는 근로자가 더 많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그런데 인공지능(AI)이 활약할 미래 사회는 재택근무 및 가상현실에 의한 사이버 강의 확대로 마치 농경 사회에서처럼 가족이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예견되고 있다. 그렇다면 코로나로 인해 우리는 조만간 다가올 '미래 가족'을 미리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버드대학의 베일런트(G. Vaillant) 교수는 생애 전반에 걸쳐 행복을 유지했던 사람들을 장기 추적·관찰한 결과 그들이 '성숙한 방어기제'와 함께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대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사람에게 본인의 결혼 여부와 무관하게 생애 전반에서 가장 길게 유지되는 대인 관계는 '가족과의 관계'이다. 그런데 이 가족과의 관계가 늘 안정적이고, 특히 그 관계에서 가지는 경험이 늘 행복한가. 코로나로 인해 생겨난 뜻밖의 시간은 가족과의 시간이 언제나 행복하거나, 가족과의 관계가 아무도 노력하지 않는데 저절로 행복해질 수 없음을 우리에게 경험시키고 있다. 최고의 기쁨을 주는 관계일 수 있는 부부 관계가 가장 파괴적이고 고통스러운 관계로 변질하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특히 부모가 되면 저절로 모성애나 부성애가 생긴다고 생각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음을 부모가 되어 본 사람은 너무 잘 알고 있다. 왜 그런가. 가족생활의 행복은 인간의 '본능'으로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의식적인 노력, 즉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개인의 가치관, 사회의 규범, 사상, 기술 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학습'의 결과물이다. 배우지 않고 잘할 수 있는 우연도 있겠지만, 배운다면 의식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더 잘할 수도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향상된 삶을 지향할 수 있다.

 

20세기 이후 진행된 인간 행복을 규명한 여러 연구는 일의 세계에서의 성공을 위해 시간을 들여 미리 배우고 준비하듯이, 인간의 행복에 중요한 요소인 건강한 대인 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해서도 미리 준비하고 학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가정의 교육 기능과 대가족 및 탄탄한 지역사회의 공동 육아를 통해 부모 됨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었던 전통 사회와 달리, 현대사회는 부모 됨을 배울 기회가 드물다. 부모가 되기 위한 교육을 강화해야 할 이유이다. 또 어느 한 사람(주로 여성인 어머니)의 일방적 희생을 담보로 한 전통 사회의 부부와 가족생활의 규범을 현대사회에서 그대로 적용해서도 안 된다. 지금은 새로운 시대의 가족생활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 전환기이다.

 

다행히 우리 교육에서는 나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 이웃, 그리고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성찰하여 '주도적인 삶의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생활 역량'을 기르는 게 목표인 '생활교과'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대학 입시의 수능 과목으로 돼 있지 않아서 '생활교과'를 선택하는 고등학교가 점차 줄고 있다. 교육 당국은 입시 위주의 교육 개혁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행복한 인간으로 청소년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어떤 철학을 강화하고, 어떤 교과의 선택에 방점을 둘 것인지 숙고해 이를 교육정책으로 제시했으면 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0/2020052003477.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피니언 게시판 자료탑재시 유의할 점 서울교육삼락회 2018.12.11 2469
46 서울교총, “공립교원 정원 대규모 감축 .. 당장 철회 하라” 작은의자 2020.08.01 64
45 예의의 역설...'예의지켜라'말하는 순간, 무례한 사람이 된다 file 작은의자 2020.07.19 1014
44 코로나가 환기시킨 공교육의 존재 의미…학교가 준 건 지식 그 이상이었다 작은의자 2020.07.02 72
» 코로나로 많아진 가족과의 시간, 왜 행복하지 않을까 작은의자 2020.06.10 78
42 올해 국가채무비율 46.5%… 2023년엔 54.5%로 껑충 file 작은의자 2020.06.06 52
41 실버 민주주의가 온다 작은의자 2020.05.13 46
40 공공보건의료가 방역의 '과학'이다 작은의자 2020.04.21 49
39 내 나이가 어때서..일본 시니어, 다시 소비 주도계층으로 작은의자 2020.04.05 113
38 코로나19 직격탄 맞은 '사회적경제 조직' "취약 계층 고용 이어가도록 도움을" 작은의자 2020.03.25 59
37 갈 곳 없어.. 코로나 위험에도 지역센터 찾는 아이, 노인들 작은의자 2020.03.16 178
36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리를 위한 경고 작은의자 2020.03.03 149
35 세계화와 함께 창궐한 전염병..선한 천사들이 늘어나길(김우창) 작은의자 2020.02.29 161
34 국가 정통성 훼손하는 고교교과서 안된다(조주행) 작은의자 2020.02.12 155
33 ③ 이어령, 청년아, 수포자는 되지마라..미래는 알고리즘이 지배하는 시대 file 작은의자 2020.01.23 216
32 ② 이어령, 정보도 나물도 캔다라고 하는 한국, 그 채집문화가 미래사회의 밑천 작은의자 2020.01.09 256
31 ① 이어령, 대륙이냐 해양이냐...한국,양자택일넘어선 신지정학 고민해야 file 작은의자 2020.01.02 216
30 우리 아이만 잘하면 돼? 그러다 한국교육 망합니다. 작은의자 2019.12.17 158
29 반환점 돈 文정부, 교육 좌표 바로잡아라(하윤수) file 작은의자 2019.11.30 333
28 비교과 영역 축소·폐지 논의, 중지해야 file 작은의자 2019.11.12 356
27 대책없는 자사고, 외고폐지 안된다(조주행) 작은의자 2019.10.17 4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