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의 창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락사 찬성률, 76%로 급증했을까

코로나로 호스피스 휴업 속출완화의료 인프라 붕괴 영향인듯

웰다잉 제도 제대로 안만들면 안락사 요구 더 거세질 수밖에

 

김민철 논설위원(조선일보 2022.06.16.)

 

 

호스피스·완화 의료는 수개월 내 임종을 앞둔 말기 환자 등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줄여주는 서비스다. 이 중요한 서비스 인프라가 신종 코로나 사태 와중에 무너졌다는 사실을 최근에 알았다. 지난해 입원형 호스피스 기관 88곳 가운데 21곳이 휴업을 했다는 것이다. 국공립 의료기관이 운영해온 호스피스 병상을 코로나 병상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주춤해졌지만 상당수는 아직도 휴업 상태다. 풀가동해도 턱없이(1000병상 이상) 모자라는 판인데 인프라가 무너졌으니 말기 환자들은 어떤 임종을 맞았을까.

 

그 답을 유추해볼 수 있는 통계 수치가 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팀이 지난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안락사·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찬성 비율이 76.3%로 높아졌다. 2008년과 2016년 조사에서는 찬성률이 50% 정도였다. 여기에다 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말기 환자에 해당하고 수용하기 어려운 고통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 조력 존엄사를 신청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을 곧 발의할 예정이다. 안 의원은 “5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실 때 겪어보니 불가피할 경우 삶을 아름답게 마무리할 기회를 주는 것이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무의미한 연명 치료 중단(존엄사)을 시행한 지 이제 겨우 4년이 지났다. 아직 이 제도가 안착했다고 보기 어렵다. 안락사는 또 다른 문제여서 도입하기 전에 많은 논의를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확대해야 하고 예상 부작용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시간과 토론이 필요한 일이다. 그런데 왜 갑자기 안락사 찬성률이 높아졌을까.

 

혹시 호스피스·완화 의료 인프라가 무너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닐까. 우리 사회가 코로나 치료와 웰빙에 치중하느라 웰다잉을 너무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닐까. 국내 완화 의료 인프라는 원래 부족했다. 지난 2020년 한 해 암으로 세상을 떠난 환자 82204명 가운데 23.0%(18907)만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했다. 전체 사망 환자로 따지면 6.2%에 불과하다. 미국은 전체 사망자의 51.6%, 영국은 암 사망자의 95%가 이 서비스를 이용했다.

 

호스피스·완화 의료 서비스는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 병원들이 제공하기를 꺼린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야다. 그런데 대표적인 웰다잉 예산인 호스피스 기관 지원 예산은 올해 96억원에 불과하다. 문재인 케어를 하면서 초음파와 MRI(자기공명영상) 진료비는 지난 4년간 10배가량 늘어 지난해 18476억원으로 늘어났다. MRI 예산의 100분의 1(180여억원)만이라도 웰다잉 인프라에 투입했다면 어땠을까. 그랬어도 안락사 찬성률이 이렇게 높아졌을까. 윤영호 교수는 남은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웰다잉 제도를 제대로 정비하지 않으면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요구가 더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김범석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장은 수많은 환자를 치료하고 임종을 지켜보았다. 김 센터장은 제도와 인프라는 발전하는 것이 상식인데 어떻게 완화 의료 인프라는 퇴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힘든 여건에서 왜 완화 의료 일을 계속하느냐는 질문에 눈앞의 환자가 조금이라도 덜 고통스러웠으면 좋겠다. 우리 부모님이, 그리고 나 스스로가 좀 더 편하게 죽고 싶다어떻게 보면 나 좋자고, 좀 더 좋은 완화 의료 환경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필자도 언젠가 맞을 삶의 마무리에서 나 좋자는마음으로 이 글을 쓰고 있다. 그때 고통을 최소화하면서 존중받으며 삶을 마무리하는 데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누가 대한민국의 주인인가 서울교육삼락회 2022.07.29 30
86 누리호 성공, 우주 강국으로 서울교육삼락회 2022.06.22 31
» 안락사 찬성률, 왜 76%로 급증했을까 서울교육삼락회 2022.06.19 31
84 전형일의 사주이야기-친구의 종류 서울교육삼락회 2022.05.30 40
83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서울교육삼락회 2022.05.21 44
82 효(孝) 서울교육삼락회 2022.05.06 40
81 검색보다 사색이다 서울교육삼락회 2022.05.01 52
80 새 정부 최대의 敵은 인플레이션 서울교육삼락회 2022.04.19 42
79 이타적 행동이 건강에 도움이 될까 서울교육삼락회 2022.04.08 37
78 청와대에서 나오기까지, 천년의 역사 서울교육삼락회 2022.03.18 43
77 86세 노인에 쏟아진 끔찍한 댓글... 그 결말이 두렵다 서울교육삼락회 2022.02.23 43
76 올림픽 한복 ‘문화공정 논란’이 놓친 것들 서울교육삼락회 2022.02.11 39
75 한복 공정 서울교육삼락회 2022.02.07 47
74 통신 3사, 공인알림 문자서비스, 등기우편과 같은 법적 효력 서울교육삼락회 2022.01.12 38
73 올드랭사인, 애국가에서 송년가까지 서울교육삼락회 2022.01.01 42
72 사라져 가는 ‘계층 이동 사다리 서울교육삼락회 2021.12.26 46
71 위드 코로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존재하는가 서울교육삼락회 2021.12.20 45
70 남자가 가을을 타는 이유 작은의자 2021.12.05 55
69 정부가 ‘미친 집값’ 만들고 세금 폭탄, 고령·은퇴자 부담 줄여야 작은의자 2021.11.23 44
68 노인일자리, 초고령사회 새로운 활력 서울교육삼락회 2021.11.08 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