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로그인 후에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인 병든 채로 17, 건강수명은 66, 기대수명 83.5

세계 21위서 10년만에 일본에 이어 2위로

 

선정민 기자(조선일보 2022.07.27.)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8국 가운데 우리나라 인구의 평생 기대수명이 10년 만에 19계단 뛰어올라 일본에 이은 2위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환경 개선과 높은 수준의 공공 의료 제공에 따른 것이라며 급속히 늘어나는 의료비와 연금 지급 등 각종 복지 비용으로 인한 장수(長壽)의 저주에 빠지지 않도록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가 726일 발표한 ‘2022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5년을 기록했다. 기대수명은 그해 태어난 아이가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연수를 뜻한다. 남성 80.5, 여성 86.5세로 각각 예측됐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OECD 1위인 일본(84.7) 다음이자, OECD 국가 평균(80.5)보다 3년 긴 것이다.

 

지난 2010년 한국의 기대수명은 80.2년으로 38국 중 21위였으나 10년 간 3.3년 연장되면서 순위가 껑충 뛰어올랐다. 김진현 서울대 간호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시골에도 보건지소 진료소와 의사가 있어 공공보건 기반이 잘 갖춰져 있고, 지속적인 경제 발전 및 교육 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지식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고도로 효율화된 의료 시스템이 장점이지만, 국가가 책임지는 건강보험 체계에서 낭비 요인이 발생하면서 재정 부담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7개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OECD 평균(4.3)의 약 3배에 이른다.

임상 의사 수는 인구 1000명 당 2.5명으로 OECD 평균(3.7)에 못 미치지만, 국민 1인 당 연간 외래 진료 횟수는 14.7회로, OECD 평균(5.9)3배에 달할 만큼 의료 접근성이 뛰어났다. 하지만

김진현 교수는 우리나라는 동네 의원에서 검사한 뒤 대학병원에서 중복으로 검사를 하고, X레이를 찍어도 되는데 굳이 MRI(자기공명영상)를 찍는 등 과잉 진료가 일상화돼 있고 불필요한 의료 이용도 많다건강보험료의 지출 효율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컴퓨터단층촬영(CT)도 인구 1000명당 250건으로 OECD 평균(147)보다 훨씬 많았고, 국민 1인 당 의약품 판매액도 760달러로 역시 OECD 평균(547달러)에 비해 높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1인당 경상 의료비(3582달러)는 지난 10년 간 연평균 6.9%씩 증가하면서 OECD 증가율(3.3%)2배를 넘었다.

 

늘어난 기대수명 그 만큼 건강한 삶을 누리지 못하는 점도 문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질병·부상으로 고통 받은 기간(유병 기간)을 제외한 건강수명66.3년에 그쳐, 2012년 조사(65.7)에 비해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건강수명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수명 기간으로, ‘얼마나 건강하게 오래사는가에 초점을 두고 산출한 지표다.

우리 국민은 기대수명 83.5년 가운데 17.2년은 병으로 고생하고 있다는 뜻이다.

 

과체중 및 비만인구는 202037.8%, 10년 전 30.2%에서 오히려 늘어났다.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는 기대수명 세계 1위인 일본의 경우, 과식을 피하고 운동을 하는 등 꾸준한 건강관리가 생활화돼 아프지 않은 노년이 일반화돼 있다반면 우리나라는 건강관리 습관이 부족해 장수에 따른 의료비 부담도 상대적으로 높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25.4명으로 OECD 평균(11.1)2배를 넘는 압도적 1위였다.

 

전문가들은 장수가 저주가 아닌 축복이 되려면 갈수록 부실화되는 복지 재정에 대한 개혁이 시급하다고 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지출은 2021~203010년 간 연평균 8% 안팎씩 급속히 늘 전망이다. 2030년 기준 건보 지출은 164조원, 국민연금 지출은 61조원으로 각각 예상됐다. 지난 정부에서 문재인 케어를 통해 201762.7%였던 건강보험 보장률을 2022년 기준 70%까지 끌어올리기로 하면서 MRI’ 등에 건강보험이 확대 적용돼 방만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연금은 2007년 이후 개혁이 중단된 상태다. 국민연금은 20184차 추계 때 2042년에 적자로 전환되고 2057년에 고갈되는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공무원연금도 학계를 중심으로 국민연금 수준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김용하 교수는 이대로 가다가는 국민연금·건강보험·노인장기요양보험 등 3가지를 유지하는 데만 2060년 국민 소득의 60% 이상을 사회보험료로 쏟아부어야 할 전망이라며 후세대가 도저히 감당 불가능한 사회보험 재정에 대한 대책이 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UN(국제연합)과 통계청에 따르면, 2065~2070년 한국의 기대수명은 90.9년으로 노르웨이(90.2), 핀란드(89.4), 일본·캐나다(89.3) 등을 제치고 OECD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민체조 (동영상) 작은의자 2019.02.12 294
공지 건강박수 (동영상) 서울교육삼락회 2019.02.09 930
161 마스크의 과거, 현재, 미래 작은의자 2022.10.04 60
160 하루 '1만 보 걷기'와 '빠르기 걷기' 어느 것이 건강에 더 좋을까? 작은의자 2022.09.27 58
» 한국인 병든 채로 17년, 건강수명은 66세, 기대수명 83.5세 서울교육삼락회 2022.07.27 181
158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최종 허가 서울교육삼락회 2022.06.29 71
157 백내장, 보험금 받기 어려워지나... 대법, 실손보험 관련 “병원서 6시간 이상 치료해야 입원 인정” 서울교육삼락회 2022.06.20 67
156 65세 이상 3명 중 2명이 단백질 부족… “근감소 막아야 활기찬 노후” 서울교육삼락회 2022.06.01 43
155 ‘원숭이두창’ 14개국 확산...‘콩고형’은 치명률 무려 10.6% 서울교육삼락회 2022.05.23 31
154 하루 3500보 이상 걷는 노인, 신장 기능 악화 늦어져 서울교육삼락회 2022.05.19 25
153 실명의 원인, 녹내장 - 동영상 (서울대병원) 서울교육삼락회 2022.05.10 25
152 "60세 이상, 아스피린 금지 권고"…美서 확인된 부작용 보니 서울교육삼락회 2022.05.01 25
151 60세 이상 일반인, 코로나 백신 4차 접종신청 서울교육삼락회 2022.04.18 23
150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아산병원 (동영상) 서울교육삼락회 2022.04.13 22
149 코로나 재택치료시 알아야할 5가지(동영상) 서울교육삼락회 2022.04.07 22
148 고혈압 치료와 콩팥(신장) 건강의 관계 서울교육삼락회 2022.03.22 25
147 소리없는 암살자 '췌장암', 이걸로 조기에 찾는다..정확도 94% 서울교육삼락회 2022.03.15 33
146 오미크론 재택치료 가이드 서울교육삼락회 2022.03.09 34
145 딱 한 조각 먹었을 뿐인데…"30분 운동 효과" 놀라운 건강식 서울교육삼락회 2022.02.27 43
144 코로나 후유증, 뇌졸중 52%·심부전 72% 증가 서울교육삼락회 2022.02.23 36
143 겨울철 건강관리의 주의할 점 청해 2022.02.08 44
142 염색 샴푸 논란 서울교육삼락회 2022.02.03 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CLOSE